날마다해피데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날마다해피데이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1)
    • 요리, 레시피 (11)
    • 리뷰 (14)
      • 책 (14)
      • 전시, 문화 (0)
      • 맛집 (0)
      • 제품 (0)
    • 재테크 정보 (27)

검색 레이어

날마다해피데이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채권

  • 경제용어_무디스

    2020.09.03 by 큐레이터치어풀

  • 꼭 알아야할 경제전문 용어 (가산금리) | 한국은행

    2020.08.09 by 큐레이터치어풀

경제용어_무디스

무디스 : 1909년 출판업자인 미국의 John Moody가 창업하였으며 1909년 채권신용 평가업무를 개시하였다. 1929년 세계 대공황 때 무디스가 ‘투자적격’으로 평가한 기업들이 채무를 100% 이행하게 되면서 높은 신뢰와 명성을 획득한 이후 세계적인 투자자문회사로 성장 하였으며 S&P, Fitch와 함께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무디스는 일반적으로 채권의 신용등급을 신용리스크 수준에 따라 Aaa(최우량), Aa, A, Baa, Ba, B, Caa, Ca, C(최저)의 순으로 매기며, Aa에서 Caa까지는 숫자 1, 2, 3을 추가하여 등급을 세분한다. 무디스가 신용을 평가하는 국가 수는 1975년 3개국(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1990년 33개국(주로 선진국), ..

재테크 정보 2020. 9. 3. 08:30

꼭 알아야할 경제전문 용어 (가산금리) | 한국은행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또는 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는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 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

재테크 정보 2020. 8. 9. 13:30

추가 정보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날마다해피데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